개요CIDR은 IP 주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라우팅하기 위해 도입된 방식입니다.기존의 클래스 기반 주소 체계는 A, B, C와 같은 고정된 크기의 주소 블록만을 제공하여 실제 네트워크의 크기와 상관없이 불필요하게 많은 주소가 할당되거나, 반대로 필요한 만큼의 주소를 할당받지 못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습니다.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주소 할당에 유연성을 제공하고 IP 주소 자원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CIDR이 등장하게 되었어요. 기존 클래스 기반 주소 체계IPv4 주소는 32비트(2^32)로 구성되며, 0.0.0.0 ~ 255.255.255.255까지의 숫자 조합으로 표현됩니다.IPv4 주소 할당 초기 방식으로, IP 주소를 A, B, C, D, E의 5가지 클래스로 구분하여 관리했었..
이전 블로그에서 이동된 글입니다.개요최근 면접을 준비하면서 http와 https의 차이점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면접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골 질문이지만 이전에는 모호하게만 알고 있던 내용이었기 때문에 새롭게 정리해보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네트워크 상에서 어떤 과정이 발생하는지, https를 사용할 때 데이터가 어떻게 암호화되는지 등을 이해하고 싶었고, Wireshark라는 툴을 활용하게 되었습니다.Wireshark는 오픈 소스 패킷 분석 도구로,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패킷(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 단위)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해줍니다. 또한 다양한 조건으로 필터링하여 원하는 패킷 정보만 검색할 수 있습니다.http와 https를 모두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찾아서 각 프로토콜 환경의 패킷..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HTTP
- 운영체제
- Promise
- Next.js
- react-query
- React
- async-await
- Suspense
- MSW
- javascript
- IntersectionObserverAPI
- d3
- https
- WebSocket
- Network
- mocking